투자왕 김단테님이 빌에크먼의 최근 코로나에 대한 전망을을 요약해서 영상으로 올려주셨는데요. 미국 투자 전문가들의 경제상황 요약을 요즘은 주로 해주십니다.
이루다투자 시작 때문에 바쁘실텐데 유튜브도 지속적으로 하시는 모습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물론 유튜브가 이루다 투자의 밑거름이 되고 상호작용을 하겠지만요.
글상자로 박스친 부분은 유튜브 내용이고, 나머지 부분은 저의 감상입니다.
1. 코로나를 보는 두가지 관점
1. 건강/보건
- 그렇게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2. 경제
- 의도된 셧다운 - 근본적으로 경제적인 문제가 아니다.
- 전세계적인 경제적 대응 - 각국 적극적 대처
- 전세계 인류의 대응 - 백신과 치료제, 항체검사등
미국은 20년 5월 25일 현재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가 10만명에 가까워지고 있는데요. 건강 및 보건이 그렇게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지는 않네요. 10만이면 미국인구의 0.5인데 이런 뷰로 보고 있는게 신기?합니다.
무엇보다 전세계적인 대응을 믿고 있고 결국은 조만간 코로나 이슈는 해결될 것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본인은 현재 롱포지션이니 그렇게 이야기 할 수밖에 없는것 같기도 합니다.
물론 빌 애크먼이 하는 이야기가 틀리거나 그런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본인 포지션에 맞춰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건 아닌지 우리들은 생각해 봐야합니다. 결국 투자의 책임은 본인이니까요.
2. 빌 애크먼의 경제에 대항 추가뷰
부정적인 부분은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은 위험다는 점
경제에 대한 임시적 방해이지 영구적인 것이 아니다.
끝이 있음. 우리는 다시 돌아간다.
결국은 끝난다라는 걸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이게 포인트이죠. 공황급의 장기침체로 가진 않는다는 것입니다. 잘해야 08년 때처럼 몇년뒤면 정상수준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이죠.
대공황급으로 보는 레이달리오하고는 반대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빌애크먼의 올인전략
2월에 CDS투자로 하락배팅, 3월말에 주식으로 변경 연초대비 16.5%
왜 CDS인가? 회사채 사망 보험 credit default swap
국채이자과 회사채이자율의 차이인 스프레드가 1%였다가 회사채 이자율의 상승으로 스프레드가 뛸때 돈을 많이버는 상품
빌애크먼은 하락을 예상해서 인버스나 풋옵션을 산게 아닙니다. 국채와 회사채의 이자율 차이를 이용한 CDS를 매수했는데요.
이는 코로나로 경제위기가 올것을 예상한 부분도 있겠지만, 스프레드가 너무 낮아서 이제 스프레드가 벌어질 것을 보고 투자한 것 같네요. 혹시라도 코로나 사태가 터지지 않아도 큰 손실을 보진 않을테니까요.
4. 행동주의 투자자 빌 애크먼
행동주의 투자자 - 특정회사의 주식을 많이 투자해서 회사 경영에 간섭, 회사의 대표변경등을 할 때도 있음.
스킨인더게임 행동과 이론의 일치 - 109% 현재 주식이다.
빌 애크먼은 실패를 많이 경험했다.
빌 애크먼의 현재 보유주식 - QSR LOW BRK.B HLT A CMG SBUK HHC BX PK
대단한 투자자 빌애크먼 입니다. 이 시국에 레버리지 주식투자를 보여주네요. 현재 보유주식은 현재 뷰를 보여주니 꼭 미국주식 직접투자를 안하셔도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터뷰 내용을 적은 부분은 블로그 작성편집 과정상 실제 인터뷰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제목은 유튜브의 원 제목과 다름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유튜브의 전체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김단테님의 다른 영상에 대한 요약이나 감상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2020/05/04 - [경제] -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내일은 투자왕 김단테)
2020/04/21 - [경제] - 레이달리오의 대공황 2부 (투자왕 김단테)
2020/04/17 - [경제] - 레이달리오의 코로나위기와 공황 1부 (투자왕 김단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락장 대응과 관점의 중요성 - 강방천 에셋플러스 자산운용 회장 1부 (김작가 tv) (0) | 2020.08.27 |
---|---|
IMF때 억대 연봉 달성, 금융위기를 맞추고도 조롱받았던 사람 (유동원 우리환아투자자문 리서치센터장 1부 - 신사임당) (0) | 2020.08.26 |
집값과 물가, 삼성전자 주가와 소비자물가의 관계 (0) | 2020.05.13 |
한국의 제로금리 정책 가능한가? 기축통화 달러에 대해서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0) | 2020.05.12 |
국토교통부 서울시 7만호 주택공급과 향후 부동산 전망(채상욱 애널리스트) (0) | 2020.05.07 |